24절기 중 스물두 번째, 일 년 중 밤이 가장 긴 날을 뜻하는
동지(冬至).
동지의 또 다른 이름, 미리 맞는 새해라는 의미의 작은 설.
동짓날이면 묵은 빚을 청산하고 새 달력을 준비하며 한 해를 정리했던 조상.
'역질귀신이 붉은 팥을 무서워하여 동짓날 붉은 팥죽을 쑤어 역귀를 물리친다.'
- 동국세시기
악한 것을 쫓는 붉은색 팥에 탄생, 풍요를 의미하는 새알심을 넣어 이웃과 나누던 특별한 음식
팥죽.
팥죽으로 조상에게 제를 지내고 집안 곳곳에 팥죽을 놓아두며
새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했던 조상.
"동지를 설날처럼 여겼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통 동지를 작은 설 그다음에 한자로 아세(亞歲)라고 하는 것은 바로 고대국가에서 명절의 모습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김명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동지(冬至)
묵은해를 미리 정리하고, 새로운 해를 먼저 준비했던 조상의 지혜가 담긴 날입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동지(冬至).
동지의 또 다른 이름, 미리 맞는 새해라는 의미의 작은 설.
동짓날이면 묵은 빚을 청산하고 새 달력을 준비하며 한 해를 정리했던 조상.
'역질귀신이 붉은 팥을 무서워하여 동짓날 붉은 팥죽을 쑤어 역귀를 물리친다.'
- 동국세시기
악한 것을 쫓는 붉은색 팥에 탄생, 풍요를 의미하는 새알심을 넣어 이웃과 나누던 특별한 음식
팥죽.
팥죽으로 조상에게 제를 지내고 집안 곳곳에 팥죽을 놓아두며
새해의 무사안녕을 기원했던 조상.
"동지를 설날처럼 여겼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보통 동지를 작은 설 그다음에 한자로 아세(亞歲)라고 하는 것은 바로 고대국가에서 명절의 모습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 김명자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동지(冬至)
묵은해를 미리 정리하고, 새로운 해를 먼저 준비했던 조상의 지혜가 담긴 날입니다.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방송 관련 글, 사진 > KBS 한국의 유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유산 - 권농윤음 (2) | 2012.01.02 |
---|---|
한국의 유산 - 유출 문화재 (0) | 2011.12.25 |
한국의 유산 - 태교신기 (10) | 2011.12.11 |
한국의 유산 100회 특집 녹화 방청기 (4) | 2011.12.11 |
한국의 유산 - 진대법 (5) | 2011.12.05 |